옥포초등학교 로고이미지

학습자료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태권도
작성자 옥포초 등록일 10.08.04 조회수 85
그냥...이거 인터넷에서 찾아봤어요..


한국 고유 무예의 하나. 손과 발을 이용하는 전신운동으로, 상대의 공격을 막거나 상대를 공격하는 호신술이다. 태(跆)는 발, 권(拳)은 주먹, 도(道)는 무도(武道)를 뜻하며 무도정신과 스포츠정신이 결합된 운동이다.

역사
동양무술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무술로 그 연원은 고대 부족국가 제천행사 때 행하여진 제전경기에서 찾을 수 있다.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등 원시종교의식에 따르는 체육활동에서 신체를 단련하는 행동이 있었고, 이것이 무예로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바탕 위에 형성된 한국 전통무술이 바로 택견[手搏(수박)]이다.

삼국시대
삼국시대 택견은 국방·전투기능 향상을 위하여 무인의 필수 무술이었으며, 나라를 지키는 무사단에서 수련하였다. 고구려 선배(仙輩)와 신라 화랑(花郞)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고구려 선배는 태조왕 때의 무사단으로 국방기능 강화를 위하여 택견을 수련하였으며, 이는 무용총 널방[玄室(현실)] 천장에 2명의 무사가 택견으로 맞겨루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또한 화랑은 국가발전을 위한 기본무예로 택견을 수련하였는데, 그때의 택견모습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된 동조금강역사상의 공격·방어자세를 통하여 짐작할 수 있다.

고려시대
고려시대에는 이러한 전통이 더욱 체계화되었다. 국방과 국가의 발전을 위하여 택견이 무예로서 가치가 인정되고 수준이 높아졌으며, 더욱 조직화·일반화되었다. 《고려사》에는 택견이 수박(手搏) 또는 수박희(手搏戱)로 기록되어 있으며, 택견에 관한 기록이 많이 남아 있다. 의종 때 이의민(李義旼)이 수박을 잘하여 대정(隊正)에서 별장(別將)으로 승진하였다거나, 최충헌(崔忠獻)이 중방(重房)의 힘센 자로 하여금 수박희를 시켜 이긴 자에게 교위(校尉)나 대정 벼슬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써 택견이 관(官)에서 무예적 가치를 인정받았을 뿐 아니라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경기적 성격도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무예 수준도 상당히 높았음을 알 수 있는데, 《고려사》에 의하면 <이의민이 맨주먹으로 기둥을 치니 서까래가 움직였고, 두경승이 주먹으로 벽을 치니 주먹이 벽을 뚫고 나갔다>라고 하였다. 택견은 고려 말 화약 발명과 새로운 무기 등장으로 국가의 제도적 뒷받침이 줄어들자 무예로서의 기능이 약화되고 민속경기로 변모하기 시작하였다. 《고려사》에는 <수박으로 돈이나 물건내기를 한 자는 각각 곤장이 일백이며, 유숙시킨 주인이나 노름밑천을 대준 자 또한 곤장 일백이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백성들 사이에 택견을 즐기는 사람이 많았다는 점과 택견이 놀이나 경기로 행해졌음을 말하는 기록이다.

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건국 초기의 정치적·국방적 상황으로 나라에서 택견에 능한 사람들 을 뽑는 등 무예로서 다시 성행하기 시작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1410년(태종 10) <의흥부(義興府)에서 군사를 뽑는 데 수박희를 시켜 세 사람을 이긴 사람에게 방패군(防牌軍)을 시켰다>라는 기록이 있다. 제도가 정비되고 나라가 안정되면서 무풍(武風)이 차츰 쇠퇴하여 갔으나 임진왜란·병자호란 등을 겪은 뒤 무예가 다시 중시되었다. 훈련도감의 설치와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라는 무예교과서를 만드는 등 무예를 장려하였으므로 택견이 무예로서나 민속경기로서 활력을 되찾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택견이 민속경기 성격을 갖는 한편 동족의식을 배경으로 하는 민족적 스포츠로서 발전하게 될 가능성이 보이자 일제는 이를 정책적으로 탄압하기 시작하였다. 택견을 가라테[空手(공수)]라 부르게 하였으며, 가라테를 보급시켜 택견 말살을 꾀하였다. 그러나 의식있는 사범들에 의하여 택견은 비밀리에 전승되었다.

광복이후
광복과 함께 택견은 민족문화에 대한 주체적 인식과 몇몇 지도자들의 노력에 의하여 급속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들은 택견 진흥을 위하여 청도관·지도관·송무관·창무관·무덕관 등 도장을 차려 후배를 양성하기 시작하였다. 이 무렵 전통적으로 불리던 <태껸> 대신 소리가 비슷한 한자, <태권>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나 일반화되기 시작하였으며 택견의 성격도 무예로서의 의미보다는 경기로서의 의미가 강하게 되었다. 1961년 9월 대한태수도협회가 결성된 뒤 본격적으로 경기화되었고, 1962년 대한체육회 산하경기단체로 승인, 1963년 전국체육대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1965년 대한태권도협회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971년 국기(國技)로 인정받았다. 1973년 서울에서 제1회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를 개최, 세계태권도연맹(WTF)을 창설하였다. 1986년 아시아경기대회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 1988년·1992년 올림픽대회에서는 시범종목에 이어 2000년 시드니올림픽대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태권도는 세계적 스포츠로서 세계 각국에 태권도 사범이 파견되어 민간외교는 물론 국위선양에 이바지하고 있다.

연습법
태권도 기술수련은 품세·겨루기·단련·호신술·시범으로 나누어진다.

품새
혼자서 상대를 가상(假想)하여 연무선(鍊武線)에 따라 공격과 방어 동작을 합리적·효과적으로 숙달시켜 민첩성·유연성·근력 및 중심 이동, 호흡조절과 동작의 완급 등을 익히는 것이다. 종류로는 유급자 품세로 태극 1∼8장까지 있고, 유단자 품세로 고려·금강·태백·평원·십진·지태·천권·한수·일여가 있다.

겨루기
품새의 실제를 응용하여 실전에 임하는 공격과 방어 기술을 전개하는 것으로서, 약속겨루기와 자유겨루기가 있다. 겨루기를 통하여 다양하게 변화되는 공격과 방어에 재빨리 대처할 수 있는 기지(機智)와 투지를 기르게 된다. 약속겨루기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겨루는 것이며, 자유겨루기는 실재로 실전에 임한 자세로 기술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이다.

단련
손과 발 등 공격·방어 부위를 각종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강화, 단련함으로써 파괴력을 기르는 것이다. 종류로는 골육(骨肉)단련·관절단련·정확도단련 등이 있다.

호신술
접근전에서 상대방이 가해오는 공격을 제압하고 역공격을 연마하는 기술이다.

시범
수련을 통하여 습득한 기술과 위력, 특수 기술을 보여줌으로써 태권도를 알리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1인시범과 단체시범 2종류가 있고, 기본동작·품세·겨루기·격파·호신술·특수기술·묘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전글 추석의 있었던 일1 (다 읽으시고 목록을 눌러 주세용~)
다음글 지도